
농가의 당면한 경영,기술상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문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람이 문제의 해결 방안을 강구한 후 농가에 제시하여 경영체가 경영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권고하고 지도,자문하는 것
농업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개별농가의 경영규모 확대와 농업경영 환경의 변화로 보다 전문화된 농업경영의 필요성이 증대된 반면,농업은 타 산업분야에 비하여 경영여건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뒤떨어지므로 과학적인 경영혁신 기법을 도입하여 농업인 스스로 자기의 경영수준이 어느 정도이고, 무엇이 문제이며, 무엇을 보완하여야 보다 발전할 수 있는지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과정을 조목조목 진단하여 경영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농업인들의 농가경영혁신 노력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지원과 동시에 농가 경영 전문상담 사업이 강화되고 있으며 현재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전문상담을 희망하는 농가에게 품목별 경영표준 진단표를 이용하여 경영상태를 진단, 분석 하여 처방하고 상담지도를 해주고 있다.
경영성과지표는 농가의 경영성과를 알아보는 주요 진단지표이나 경영개선 수단의 성격보다 목표 또는 결과의 성격이 강하여 세부평가진단표의 수단성격과 중복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평가 점수에는 합산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요 경영성과 지표에 대하여는 자신의 경영성과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 농 가에서 직접 진단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단계별 수준 설정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적용(평가진단표도 동일)
경영성과지표별로 각 성과지표의 □안에 숫자를 기록한 다음 자기경영수준의 단계 가 되는 해당란의 빈칸에 ○표하여 최고 선진수준이 되는 5단계와 어느 정도 차이 가 나는지 알아본다.
세부평가진단표는 경영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 되는 평가진단지표를 이용하 여 항목별, 세부요소별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부평가진단표를 작성할 때는 세부요소별로 5단계의 수준을 설정한 내용을 자세 히 읽고 정확히 이해한 다음 세부요소별로 자기경영수준의 단계에 해당되는 등급란 의 빈칸에 ○표하여 세부요소별 자기경영수준을 알아 본다.
세부평가진단표에 표시한 등급에 따라 점수화하며 전체적인 경영수준과 세부 요소별 수준을 한표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 종합평가진단표이다.
세부평가진단표에 의거 평가 진단한 결과를 종합평가진단표에 세부요소별, 항목별 로 점수를 기록한 후 전체 종합점수와 항목별, 세부요소별 점수를 산출하여 자기의 종합경영수준과 부분별 수준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