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은 전통적으로 세습무권입니다.

즉 신들림의 경험 없이 집안으로 내려온 무당들이 굿을 해왔던 것입니다. 굿은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서낭굿, 또는 어업하는 사람들의 풍어를 위한 별신굿이 많이 행해졌고, 개인적으로는 바다에서 죽은 넋을 위로하기 위한 넋건지기굿과 혼인 전에 죽은 영혼을 결혼시키는 영혼혼사굿, 그리고 재수굿 등이 있습니다. 삼척지역 대부분의 어촌마을은 근덕의 큰무당 이금옥의 당골판이었습니다.

삼척지역 대부분의 어촌마을은 근덕의 큰무당 이금옥의 당골판이었습니다. 흔히 ‘뚱뚱이 무당’, ‘째보 며느리’라고 불린 이금옥은 현재 부산의 무속관계 인간문화재인 김석출의 형수로 뿌리깊은 세습무 집안에서 굿을 배워 삼척을 비롯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지역 전역을 당골판으로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금옥이 노쇠하여 굿을 하지 못하게 된 90년대 이후부터는 신들린 무당이 마을의 서낭굿을 맡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신들린 사람들은 오랫동안 점복(占卜)으로 생업을 삼아왔고 굿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굿을 배워 참여하는데 이는 전국적인 현상이기도 합니다.

삼척의 어촌에서는 정기적으로 서낭굿, 또는 어룡제라고 부르는 마을굿을 해왔습니다. 삼척굿의 특징은 어업도 중시하지만 마을전체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의도가 강하게 남아있다는 점입니다. 즉 별신굿의 성격보다 마을서낭굿의 요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비용의 과다지출과 신앙심이 줄어들면서 차차 중단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까지 굿을 하고 있는 마을들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추천에서는 격년으로(3년마다 라고 한다) 음력 3월중에 날을 받아서 무당을 청해 굿을 하는데 이를 어룡제라고 부릅니다. 어룡제의 비용은 추렴없이 어촌계가 부담하는데 공동어장의 이익금에서 냅니다. 당골무당은 이 마을에 살다가 근덕으로 이사간 이금옥(별호 뚱뚱이 무당, 1991년 겨울에 사망)이었는데 노쇠하여 굿을 못하게 된 88년부터 신들린 무당으로 바꾸었습니다. 이들은 세습무당보다 값이 싸고 주민들의 흥을 돋구어주어 평이 좋다고 합니다. 그후부터는 당골무당을 따로 정하지 않고 해마다 무당을 바꾸어 부릅니다. 이유는 두어 번 쓰다가 보면 당골로 굳어져 마을의 의사가 존중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90년에는 삼척의 꼬마무당이 왔었고, 92년에는 묵호에서 데려왔다고 합니다. 무당은 어촌계 임원회의를 소집하여 의사를 종합, 청하게 됩니다.

굿은 아침 11시경 시작하여 밤을 새고 다음날 오전에 끝납니다. 제물은 특이한 것이 없고 돼지머리, 대구포 외에 일반적인 제물이 오릅니다. 어룡제를 지낼 때 여유있는 선주들은 만신을 청하여 배 안에 제물을 차려놓고 따로 용왕제를 지냅니다. 초곡의 마을굿은 단오 때 한해 걸러서 하는데 어룡제라고 부릅니다. 예전에는 날을 받아서 굿을 했었습니다. 굿은 5월 4일 초저녁에 원당에서 시작하여 6일 아침에 마칩니다. 굿에는 주민들만이 아니라 외부에서도 구경을 옵니다. 일단 서낭굿이 끝난 후 선주들은 바닷가에 있는 해서낭(해랑)에 가서 용왕제를 합니다. 당골무당이 죽은 후 무당의 선정은 4월 중에 마을회의를 열어 결정하고, 예전에는 소를 잡아 통째로 올렸었는데, 지금은 돼지를 잡습니다.

임원은 3년에 한번씩 굿을 하는데 모든 가구가 돈을 추렴하여 경비를 마련합니다. 굿은 9월에 하고 정씨서낭과 고씨서낭인 두 여서낭의 대를 내려 남서낭을 모신 큰 서낭당으로 모셔와 굿을 합니다. 이곳에서 이틀간 굿을 한 뒤 삼일째 되는 날은 바닷가로 나와 용왕제를 지냅니다. 굿을 할 때는 소 한 마리를 잡아 제물로 올립니다.

행정구역상으로 삼척시 교동에 속하는 후진에서도 굿을 합니다. 굿은 예전에 2년에 한번씩 하던 것을 1993년까지는 3년에 한 번, 1993년부터는 5년에 한 번씩 굿을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굿의 이름은 서낭굿이라고 하고 동짓달에 하는데, 전속 무당으로는 근덕 뚱띠이 무당(이금옥), 묵호 용칠이 무당들이 해오다가 현재는 그 후손들이 합니다.

삼척시 오분동의 풍어제는 4-5월과 11월에 하며 계원의 생년월일, 지역의 텃세를 고려하여 날짜를 정하고 굿은 용골무당을 계속하여 불러 간략하게 합니다. 제당은 산너머에 있으며 부정을 타지 않은 선주들은 돈을 놓고 절을 하며 안전과 풍어를 기원합니다. 마을 제사는 통장이 관장하지만 풍어제는 어촌계가 중심이 됩니다. 이제 삼척에서 행해지는 마을굿의 내용을 주로 해안마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부정굿 : 굿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과 굿청의 부정을 가시기 위해서 하는 굿으로, 무녀는 물과 불로 부정을 가셔냅니다.
  • 당맞이굿 : 서낭신을 맞이하는 굿으로, 굿청은 대개 바닷가에 임시로 만들기 때문에 서낭당에 가서 당을 내려 신을 모셔오게 되며, 서낭당이 둘이면 두 군데, 셋이면 세군데를 돌아 마을을 수호하는 신들을 모셔옵니다.
  • 하회동참굿 : 숫서낭과 암서낭, 그리고 그 외 무속에서 신앙하는 모든 신들이 함께 동참하여 굿청에 좌정하기를 기원하는 굿입니다.
  • 조상굿 : 조상신을 청하여 자손들을 돌보아주기를 빕니다.
  • 세존굿 : 시준굿, 당금애기, 또는 제석굿이라고도 하며, 세존은 인간에게 복을 주는 생산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존굿에서는 규중처녀 당금애기가 부모 형제가 모두 집을 비운 사이에 세존이라는 신적 존재와 결합하여 아들 셋을 낳은 후 함께 세존을 찾아가 아들들은 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당금애기는 삼신으로 좌정하기까지의 긴 서사무가가 불려집니다. 또한 제주에게 고깔을 씌우고 염주를 걸어준 후 동냥을 하게 하는 ‘중잡이놀이’도 있습니다.
  • 성주굿 : 성주는 가신입니다. 가정에서 대주를 대표하는 중요한 신이어서 특별히 모십니다. 성주굿에서는 집을 짓는 과정과 집안의 살림을 차리는 무가가 불리어집니다.
  • 논동우굿 : 일명 군웅굿, 장수굿이라고도 하며, 각도의 장수를 불러 모시는 굿입니다. 장수의 위엄을 보이기 위해 무녀는 놋동이를 입에 무는 묘기를 부립니다.
  • 지신굿 : 터를 관장하는 신을 모시는 굿입니다.
  • 심청굿 : 천하의 효녀 심청이 넋을 불러주는 굿이라고 합니다. 눈총이 맑게 하기 위해서 굿을 한다고도 하며 심청가의 내용을 무녀가 부릅니다.
  • 천왕굿 : 일명 원님굿이라고도 하는데, 천왕은 불교적 신의 이름으로 굿의 내용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굿이 끝나면 원님놀이라는 굿놀이가 행해집니다.
  • 손님굿 : 손님은 마마와 홍역의 신입니다. 천연두는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이었으므로 곱게 앓도록 해달라는 기원으로 이 굿을 해왔습니다. 무가의 내용은 욕심 많은 철룡이 아버지가 손님을 잘못 대접하여 아들을 잃고 패가망신한다는 내용으로 되어있습니다.
  • 제면굿 : 제면은 무당의 담당구역을 의미합니다. 내용은 제면할머니가 당골네들을 찾아다니면서 걸립하는 것입니다. 무녀는 각도의 무당흉내를 내어 관중들을 웃기고, 굿의 마지막에는 제면떡을 골고루 나누어 줍니다.
  • 꽃노래, 뱃노래, 등노래굿 : 굿이 끝나감에 따라 여러 무녀가 다 함께 꽃을 들고 신을 즐겁게 하는 춤을 추고, 다시 굿청에 매어놓았던 배를 젓는 흉내를 내면 사람들은 배 안에 돈을 넣습니다. 이어 등을 들고 춤을 추는데 이 모든 것은 신이 돌아가시는 길을 밝혀주고 편안히 해주는 것입니다.
  • 용왕굿 : 용왕은 물을 관장하는 신입니다. 용왕굿은 집집마다 바닷가에 제물을 장만하여 차려놓고 뱃기를 꽂아놓은 후 행해집니다. 무녀는 물동이 위에 올라가 모든 어민들에게 풍어가 있기를 축원합니다.
  • 거리굿 : 굿에 따라온 잡귀들을 풀어먹이는 굿으로, 이 굿은 반드시 양중들인 남자가 합니다. 여러 잡귀들을 흉내내어 사람들을 웃기는 유흥적인 굿입니다.

민속신앙자료는 [삼척의역사와 문화유적](삼척시ㆍ관동대학교박물관, 1995년) "삼척시의 민속자료" 편에서 발췌·정리한 것입니다.


페이지담당 :
문화홍보실 ( 전화번호 : 033-570-3225 )
최종수정일 :
2018-02-12 09:00:00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바로가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