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심씨의 시조이며 죽서루의 가객으로 이름 높았던 심동로는 고려 공민왕 원년(1352)에 통천군수를 지낸 분입니다. 본래 이름은 한(漢), 호는 신재(信齋)이며 검교(檢校)로 있던 심문수의 아들이었습니다.
심동로는 고려말 충혜왕3년(1342) 생진과에 차석으로 합격하여 그해 가을 직한림원사. 성균관학록이 되었으며, 1351년에는 내직으로 들어가 우정언이 되었습니다.

그후 공민왕 10년(1361)에는 봉선대부 중서사인 지제고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으나 심동로는 연로하신 부모를 모시기 위해 지방수령으로 나가기를 원했을 정도로 효성스런 분이셨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 통천군수를 지내면서 고려말의 어지러운 정사를 바로잡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갈 수 있게 해달라고 임금에게 간청했습니다. 공민왕은 여러 차례 그의 마음을 되돌리고자 했으나 의지가 워낙 굳어서 어쩔 수 없이 귀향을 허락하면서 그 뜻을 높이 사서 "노인이 동쪽으로 돌아간다" 는 뜻으로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심한이란 이름 대신 심동로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학사승지가 되었을 때 왕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었습니다. "심동로는 신보다 학식이 높고, 나이도 신보다 많으며, 벼슬길도 먼저 올랐으니 신의 직책을 그에게 내려주십시오" 공민왕이 이색의 청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당대 유학의 거장인 이색이 그러한 말을 하였을 정도이면 심동로가 어떠한 인물인지 짐작하고도 남을 것입니다.
당시에 김구용이 안사가 되어 삼척에 왔을 때 심동로를 찾아와서 그가 거처하는 집을 방문하여 심동로의 호인 "신재" 라는 글씨를 직접 써서 편액으로 그의 집에 걸어주었습니다. 이처럼 삼척으로 오는 많은 관원들은 반드시 심동로를 찾아와서 나라 일을 함께 논하고 시를 지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충렬왕8년(1282) 원나라에서 진사 급제 후 돌아와 예빈시승의 벼슬에 있던 이구(李球)는 "관동의 군자는 두 사람으로 심동로와 최복하다" 라고 평했는데 그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척의 관루는 죽서루이고 / 누중의 가객은 심중서로다 / 지금과 같이 백발임에도 / 시와 술에 의탁하여 / 한가한 나를 위해 자리를 베풀었네" 심동로는 삼척에 살면서 날마다 죽서루와 해암정을 오가며 시를 썼습니다. 추암 능파대 서쪽에 지은 해암정은 삼척의 해금강이라 할 만큼 경치가 좋으며, 해암정 서쪽 신재공이 은거했던 터를 "신대감터" 라고 부릅니다. 세조7년(1461) 체찰사 한명회는 이곳에 들러 능파대(凌波臺)라 이름을 지었고 1530년 안찰사 심언광이 중건했으며, 1675년 송시열이 해암정 현판을 남겼다고 합니다. 이 심동로가 은거하던 곳은 지금의 동해시 추암동 산기슭인데 이곳을 휴산(休山) 또는 퇴평(退坪)이라 하며 1931년 후손들이 그 자리에 유허비를 세웠습니다.

심동로는 삼척에서 후학들을 모아 글을 가르치며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남은 인생을 다 바쳤습니다. 그러므로 삼척지방의 학풍을 진흥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년에는 나라에서 예의판서와 집현전제학을 내렸으나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임금은 식읍(食邑)을 하사하고, 진주군(眞珠君)으로 봉했으나 끝내 부임하지 않고 산수와 시를 벗하였습니다.

심씨가 삼척을 본관으로 한 것은 심동로의 유언에 따른 것이라 합니다. 그의 덕행과 문장은 [해동명신록]에 수록될 정도입니다. 삼척의 자랑인 관동팔경 제1루 "죽서루" 와 심동로는 이러한 인연이 있습니다.


※참고자료 : 김영기, "실직국의 인맥",[실직문화]제4집, 삼척문화원,1993 [삼척시지]. [동해시사][삼척의 충효열 인물](삼척군,1994)


해암정(해암정)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63호

고려 공민왕 10년(1361) 진주군 심동로가 처음 창건하였으나 소실되고, 조선 중종25년(1530)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이 중건하였다. 그후 정조 18년(1794) 중수하였는데 규모는 정면 3칸·측면 2칸 초익공 양식의 단층 팔작지붕으로 음양의 조화를 맞추었으며, 원주기둥이 10개이고 전면을 제외한 3면 모두가 4척 정도의 벽체로 세워져 개방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4면 모두 문을 달아 놓았다.

식읍(食邑)

국가에서 그 조세를 공신(功臣) 등의 개인에게 받아쓰도록 배정한 고을


페이지담당 :
문화홍보실 ( 전화번호 : 033-570-3225 )
최종수정일 :
2018-02-12 09:00:00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바로가기 메뉴